2024.06.17 (월)

  • 구름많음속초31.2℃
  • 구름많음26.3℃
  • 구름많음철원27.6℃
  • 구름많음동두천27.9℃
  • 구름많음파주26.6℃
  • 구름많음대관령24.3℃
  • 구름많음춘천26.7℃
  • 구름조금백령도24.2℃
  • 구름조금북강릉29.7℃
  • 구름조금강릉31.0℃
  • 구름많음동해31.4℃
  • 구름많음서울27.5℃
  • 구름많음인천24.9℃
  • 구름많음원주26.2℃
  • 구름많음울릉도26.4℃
  • 구름많음수원27.1℃
  • 구름많음영월25.8℃
  • 구름많음충주26.0℃
  • 구름많음서산26.0℃
  • 구름많음울진28.9℃
  • 구름많음청주27.5℃
  • 구름많음대전27.1℃
  • 구름많음추풍령25.5℃
  • 구름많음안동25.9℃
  • 구름많음상주27.1℃
  • 흐림포항28.9℃
  • 흐림군산24.6℃
  • 흐림대구28.0℃
  • 흐림전주25.4℃
  • 흐림울산26.3℃
  • 흐림창원25.9℃
  • 흐림광주24.3℃
  • 흐림부산26.1℃
  • 흐림통영24.1℃
  • 흐림목포22.1℃
  • 흐림여수23.5℃
  • 박무흑산도22.9℃
  • 흐림완도23.4℃
  • 흐림고창24.7℃
  • 흐림순천22.3℃
  • 구름많음홍성(예)27.0℃
  • 구름많음25.1℃
  • 비제주23.4℃
  • 흐림고산21.6℃
  • 흐림성산21.3℃
  • 비서귀포22.6℃
  • 흐림진주23.8℃
  • 구름많음강화24.6℃
  • 구름많음양평24.6℃
  • 구름많음이천27.1℃
  • 구름많음인제26.4℃
  • 구름조금홍천26.7℃
  • 구름많음태백26.3℃
  • 구름많음정선군26.2℃
  • 구름많음제천23.9℃
  • 흐림보은26.1℃
  • 구름많음천안25.9℃
  • 구름많음보령26.5℃
  • 구름많음부여26.4℃
  • 흐림금산25.9℃
  • 구름많음26.4℃
  • 흐림부안24.9℃
  • 흐림임실25.3℃
  • 흐림정읍25.5℃
  • 흐림남원24.0℃
  • 흐림장수25.2℃
  • 흐림고창군24.8℃
  • 흐림영광군23.9℃
  • 흐림김해시24.9℃
  • 흐림순창군24.0℃
  • 흐림북창원25.9℃
  • 흐림양산시26.2℃
  • 흐림보성군22.9℃
  • 흐림강진군22.5℃
  • 흐림장흥23.0℃
  • 흐림해남22.9℃
  • 흐림고흥23.6℃
  • 흐림의령군25.2℃
  • 흐림함양군25.1℃
  • 흐림광양시24.5℃
  • 흐림진도군22.7℃
  • 흐림봉화24.6℃
  • 구름많음영주26.7℃
  • 구름많음문경27.4℃
  • 구름많음청송군26.4℃
  • 구름많음영덕27.5℃
  • 구름많음의성27.5℃
  • 흐림구미26.8℃
  • 흐림영천27.5℃
  • 구름많음경주시28.8℃
  • 흐림거창24.7℃
  • 구름많음합천25.7℃
  • 흐림밀양26.2℃
  • 흐림산청24.4℃
  • 흐림거제24.1℃
  • 흐림남해23.7℃
  • 흐림25.5℃
자다 깨서 돌아다닌다? 몽유병 의심?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다 깨서 돌아다닌다? 몽유병 의심?

몽유병 환자의 80%는 가족력이 있지만 유전병은 아닌 몽유병. 어린 아이들에게 더 흔하게 나타나는 몽유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크기변환]몽유병.jpg

Q 몽유병이란 무엇인가요

몽유병은 대개 수면 초기 1/3 동안 깊은 잠에서 불완전하게 깨어 돌아다니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 병입니다. 수면보행증(sleep walking)이라고도 합니다. 수면을 시작한 후 초기에는 주로 안구를 움직이지 않는 비렘수면(non-REM sleep)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비렘수면 때 우리 몸의 근육은 긴장도가 높아지며 움직임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몽유병이라는 이름과는 달리 실제로 꿈은 꾸지 않습니다. 참고로 꿈은 렘수면(REM sleep) 때 꾸게 되며 이 때에는 우리 몸의 근육은 긴장도가 감소합니다. (REM, rapid eye movement)수면 시기에는 이름처럼 신속한 안구운동이 일어나지만, 그 외의 몸은 움직이기 어렵습니다.

 

 

 Q 몽유병에 걸리는 원인이 무엇인가요?

몽유병 환자의 80%에서 가족력이 있는 것을 보면 유전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전병은 아닙니다. 진정제 복용, 수면 박탈, 수면리듬의 이상, 피로, 신체적 또는 감정적 스트레스가 몽유병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어린이에게 흔하게 발생하고,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감소합니다. 소아의 10-30%는 적어도 한 번의 몽유병을 경험하며 2-3%는 자주 증상을 보입니다. 성인에서는 몽유병이 1-7%이지만 자주 발생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Q 몽유병 증상이 궁금합니다.

어린이와 성인의 증상이 다릅니다. 어린이들은 잠꼬대가 심하고 자다가 일어나서 돌아다닙니다. 자기 방에서 잠이 들었는데 아침에 깨어보면 소파에 누워 있는 경우도 흔합니다. 자다가 밤중에 일어나서 부모님 방으로 들어가기도 합니다. 하지만 자신이 밤에 그런 행동을 했다는 것은 기억하지 못합니다. 몽유병 증상을 보인 다음날에는 피로감을 느끼고 낮에 졸음이 옵니다. 잠꼬대와 몽유병 증상을 보이고 낮 동안 피로감을 호소하는 청소년들도 가끔 있습니다. 잠꼬대와 몽유병은 10대 초반에 비교적 흔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난폭하거나 성적인 행동은 성인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몽유병 삽화 동안 음식을 먹는 것은 여성에서 더 흔하게 나타납니다. 몽유병은 어릴 때 여자에서 더 흔하지만, 성인기에는 남자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Q 몽유병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평소 수면위생을 잘 지키는 것이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올바른 수면위생은 낮잠을 자지 않고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며 술, 담배, 커피를 삼가는 것 등입니다. 약물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는데 저용량의 진정수면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수면 중에 어떤 행동을 하게 되는 경우 좀 더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잠들어 있는 중에 어떤 행동을 하는 것이므로, 그 과정에서 집 안의 가구와 부딪혀 다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에게도 해를 줄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이 있는 경우 몽유병 삽화 동안 위험할 수 있는 물건을 치워 그러한 상황을 피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Q 몽유병에 도움이 되는 생활습관이 있을까요?

수면 중에 코골이가 나타나면 수면상태가 불안정해지고 몽유병 현상이 더 잘 나타납니다. 따라서 코를 골지 않도록 옆으로 자거나 체중감량과 같은 조치를 취하고, 잠을 깊게 잘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몽유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일정한 시간에 잠들고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는 수면 패턴을 유지하면 수면이 깊어집니다. 평소 수면이 부족해지지 않는 생활리듬을 지키고 소음, 빛 등 주위 환경요인으로 인해 잠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료제공 - 한국건강관리협회 경상북도지부(대구북부)

 글 노성원 한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소식 20211월호 발췌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